Spring Boot28 [Spring] @Controller vs @RestController @Controller public class RestClassName{ @RequestMapping(value={"/uri"}) @ResponseBody public ObjectResponse functionRestName(){ //... return instance } } @RestController public class RestClassName{ @RequestMapping(value={"/uri"}) public ObjectResponse functionRestName(){ //... return instance } } 두 코드의 차이처럼 @RestController는 @ResponseBody가 기본적으로 추가되며, response를 JSON/XML로 자동 변환해준다. @RestController.. 2021. 9. 17. [JPA] FetchType Eager와 Lazy 차이점 LAZY = 필요할때 FETCH EAGER = 즉시 FETCH ref : stackoverflow.com/questions/2990799/difference-between-fetchtype-lazy-and-eager-in-java-persistence-api 2021. 4. 30. [JPA] @Transient 속성 or 필드를 전송하고 싶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. 보통 비밀번호 확인 필드에서 많이 사용되네요. @Entity public class Employee { @Id int id; @Transient User currentUser; ... } ref : docs.jboss.org/hibernate/jpa/2.1/api/javax/persistence/Transient.html 2021. 4. 27. [Spring Boot] Hello World 프로젝트 생성 IDE : IntelliJ 메인 메뉴에서 File | New | Project 선택 좌측 메뉴에서 Spring Initializr 선택 SDK 선택 (없다면 다운로드 가능) https://start.spring.io/ 선택 후 다음으로 이동 프로젝트 setting 기본값으로 두고 다음으로 이동 Web 선택 후 우측에 Spring Web 선택 후 다음으로 이동 프로젝트 configuration 기본값으로 두고 프로젝트 생성 DemoApplication.java 작성 package com.example.demo; 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SpringApplication; 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autoconfigure.SpringBootApp.. 2021. 4. 13. 이전 1 ··· 4 5 6 7 다음